안녕하세요.
저는 저축은행을 애용하고 있습니다.
가령 OK 저축 은행의 파킹 통장에 비상금을 보관하고, 몇몇 예금 상품에도 가입하였습니다.
예금자 보호 5000만원이 되는 상품이라서 별다른 걱정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었습니다.
예금보험공사에서 저축은행의 안정성 정보를 제공한다는 사실을요!
저축은행이 얼머나 안전한지 확인하는 방법을 다루어보겠습니다.
포스팅 하단에 저축은행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표를 만들어놓았습니다.
예금보험공사의 건정성 판단 가이드
예금보험공사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금융회사 종합 정보 →건정성 판단 가이드'를 클릭해주세요.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금융회사 종합정보 > 은행 > 정책·감독 및 법규 > 건전성판단가이드
금융회사의 재무적 건전성은 일반적으로 자본적정성(Capital adequacy), 자산건전성(Asset quality), 수익성(Earnings), 유동성(Liquidity)등 4개 부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통상 각 부문을
www.kdic.or.kr
- 1) 자본적정성: BIS 자기자본비율(Bank for Internatioal Settlement)
- 자기자본비율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비율. BIS 자기자본비율이 낮을수록 자본이 취약함.
- 2) 자산건정성: 고정이하여신비율
- 대출 총액 중에서 부실한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 이 비율이 높을수록 부실 자산 많음.
- 3) 수익성: 총자산순이익률(ROA: Return On Asset)
- ROA이 높을수록 수익성 좋음
- 4) 유동성: 유동성커퍼리지비율(LCR: Liquidity Coverage Ratio)
- LCR이 높을수록 유동성 좋음.
정리하자면 1, 3, 4번은 높을수록 좋고, 2번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저축은행 주요 경영 지표 확인 방법

금융소비자정보포털에 들어가시면 위 3가지 경영지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낮을수록 좋고, 나머지 2가지 지표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https://fine.fss.or.kr/main/fin_comp/fincomp_index/fisis_savingbank.jsp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
금융소비자가 금융거래과정에서 필요하거나 알아두면 유익한 금융정보를 망라하여 제공, 금융감독원 파인, 금감원 파인, 휴면계좌 통합조회, 금융상품 한눈에, 연금저축 통합공시, 보험다모아,
fine.fss.or.kr
주요 저축은행의 지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2022.9.30.) 기준

'은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도 귀여운 토스 굴비 적금 (5%, 6개월) 이벤트 코드: 아기광어5339 (1) | 2023.04.15 |
---|---|
[예금] 사회 초년생 인생 첫 예금 만기 달성! 신협 유니온정기예탁금 만기 후기(이자는 얼마? 만기된 예금은 어떻게 할 것인가? 등등) (0) | 2023.02.24 |
[OK저축은행] 연 5% 파킹 통장 OK읏백만통장II 개설 완료 (0) | 2023.02.16 |
[은행] 신한 은행 쏠메이트 적금 이벤트, 따봉 토끼의 새해선물은 못참지 (0) | 202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