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빠의 첫 돈 공부' (박성현 저) 라는 책을 최근에 읽었습니다.
재테크 이야기가 담긴 흥미로운 책이고, 여러분께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우연히 도서관에서 접했는데, 종이 책으로 읽고 또 전자 책으로 읽을 정도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내가 사회 초년생이라면' 부분은 꼭 블로그에 정리하고 싶었습니다.
(밀리의 서재 전자책 기준 6장 잡아야 잡히는 돈 378쪽)

경제적 자유 달성하는 과정(3단계)
1. 노동을 통해 매월 현금 흐름을 만든다.
2. 절약과 저축을 하며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모은다.
3. 투자를 하며 자산을 불린다.
각 단계별로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노동을 통해 매월 현금 흐름을 만든다.
월 250만 원 이상의 안정적인 수입을 만들어내라. 부업을 해서라도!
이 시기에는 많은 수입보다는 매월 예측이 가능한 안정적인 수입이 더 가치있다.
2. 절약과 저축을 하며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모은다.
매달 150만 원 이상을 저축하려고 노력하라.
종잣돈을 모아야 하는 이유는 내 집 마련! 주거비 통제하기!
- 처음 달성해야 할 목표 금액은 5,000만 원
- 월 100만 원의 저축으로 5,000만 원을 모으려면 4년이 필요함
- 4년 후, 1억 5,000만 원짜리 집을 찾아봄
- 낡은 다세대 빌라일 가능성이 큼(서울 기준)
- 1억 원은 대출받기
- 대출 이자가 연 3%대라면 월 30만 원 이하로 주거비 고정 가능
- 30만 원은 웬만한 고시원 월 이용료임
- 약 4년이라는 고단한 기간 중에 돈 공부하기
- 책은 백 번 양보해서 최소 100권 읽기(주식 관련 책 추천)
- 유튜브나 블로그 영상 찾아보기
- 워런 버핏: "책과 신문 속에 부가 있다"
3. 투자를 하며 자산을 불린다.
매월 투자 가능액의 30%는 은행에 맡기기
나머지 70%는 주식/ETF에 투자하기
4년 동안 열심히 공부했다면 주식 목표 수익률 10%는 충분히 가능한 목표(내 생각: 정말 그런가요..?)
월 100만 원 투자금은 4년 후 1억 원 정도로 불어남
- 소요 기간은 1년 덜 걸릴 수도, 2~3년 더 걸릴 수도 있음
- 이 모든 과정은 10년 안에 꼭 이루어짐
- 1억 원 달성을 목표로 삼기
1억 원의 종잣돈은 나의 노동력으로 얻는 수입과 별개로 나와 맞벌이를 시작함
복리의 마법과 오랫동안 다진 투자 실력이 진가를 발휘한다면 경제적 자유인으로 거듭나게 됨
내 생각
어디까지나 위의 글은 저자의 생각입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적용 여부를 결정하시길 바라요.
경제 초보 사회 초년생인 저에게는 위의 글이 일종의 가이드라인처럼 든든하게 느껴졌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 저는 2단계에서 등장하는 1억 5000만원짜리 내 집 마련을 굳이 지금 실행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서울에 1억 5000만원짜리 집을 쉽게 살 수 있나요?
(부동산 등기 경험이 전무한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요즘 대출 금리는 3%대가 아닌 걸로 알고 있습니다.
주식 실력이 부족한 제게 70% 주식 투자는 아직 무리라고 봅니다.
아무리 그래도 현재보다는 주식/ETF/채권 투자 비중을 늘려야겠습니다.
열심히 공부해야겠죠....
경제 책 읽기와 신문 읽기는 앞으로도 물 마시듯이 꾸준히 하려고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빠의 첫 돈 공부' (박성현 저)라는 책 재미있게 읽었고 여러분께도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 )
#경제적자유 #경제 #경제책 #아빠의첫돈공부 #사회초년생 #재테크
'경제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소득을 고려했을 때 적절한 대출 원리금과 보험료는 얼마일까? (0) | 2023.02.22 |
---|---|
[신협] 연 4.7% 예금 신협 유니온정기예탁금 가입 완료 (저율과세 및 담보대출 혜택 있음) (0) | 2023.02.19 |
[경제 책] 1년 동안 완독한 경제 책 12권 리스트, 경제 책 추천 (0) | 2023.02.13 |
[경제] 주식, 펀드, ETF 차이점 비교 분석 (초간단 정리) (0) | 2023.01.22 |
[경제 기본] 금리를 기준으로 투자처를 고르고 싶다면?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 달걀 이론 (0) | 2023.01.17 |